광고
광고
로고

인천광역시 서구, ‘예방’ 중심 환경정책...대기방지시설 설치 지원사업 시작

소규모 사업장에 IoT시스템 구축, 기술진단 병행

김광한 기자 | 기사입력 2022/02/09 [10:54]

인천광역시 서구, ‘예방’ 중심 환경정책...대기방지시설 설치 지원사업 시작

소규모 사업장에 IoT시스템 구축, 기술진단 병행

김광한 기자 | 입력 : 2022/02/09 [10:54]

대기방지시설 설치 지원사업 개선 후


[미디어타임즈=김광한 기자] 인천광역시 서구가 ‘맑은 하늘이 일상이 되는 클린 서구’를 만들고자 올해 인천시 내 최대 예산인 54억 원을 확보해 ‘소규모 사업장 대기 방지시설 설치 지원 사업’을 시작한다고 9일 밝혔다.

서구가 지난 2019년부터 3년간 진행한 ‘대기 방지시설 설치 지원 사업’은 중소기업 대상 최대 90% 8억 원까지 노후 방지시설 교체 비용을 지원하는 사업이다.

구는 그동안 경제적 어려움이 있는 소규모 환경오염물질 배출시설 사업장에 총 192억을 투입, 노후 방지시설 214개 교체를 지원해 인천 군·구 최대 지원 성과를 거두기도 했다.

서구 관계자는 “이 사업으로 경제적 지원뿐 아니라 사업장 배출 대기오염물질 농도가 평균 30% 이상 저감되는 효과를 보였다”며 “주민이 직접 체감하는 환경 개선에 도움이 된 것으로 판단한다”고 했다.

서구는 올해도 인천 전체 예산 102억 6천만 원 중 54억을 확보해 공기질 개선 성과를 위해 사업을 시작하고 오는 28일까지 지원 신청을 접수한다고 설명했다.

지원 대상은 ▲대기환경보전법 배출 허용기준 강화에 따라 시설개선이 필요한 사업장 ▲노후 방지시설 운영사업장 ▲주요 민원 발생 사업장 중 환경개선에 관심 있는 사업장을 우선 대상으로 한다. 구는 한정된 재원으로 효율적 환경개선 방안을 마련하는 조치라고 설명했다.

아울러 구는 보조금 지원사업과 연계한 방지시설 맞춤형 기술진단을 병행한다. 사업장별 오염물질 저감대책 수립, 시설개선 등 추가 저감 방안을 함께 고민하고 노후 방지시설 교체 사업장에 최대 369만 원 IoT 설치비를 지원해 측정기기를 의무적으로 부착하게 하고 관리시스템에 전송해 해당 사업장 방지시설 상태 확인, 소모품 교체주기 파악 등 실시간 확인이 가능한 과학적 대기질 시스템 기반을 구축할 방침이다.

서구 관계자는 “이번 사업은 단속과 규제 위주 정책이 아닌 ‘예방’ 중심의 적극적 환경정책이자 중소기업 경제 지원정책”이라며 “민관이 함께 상생 환경을 구축하고 주민이 체감하는 쾌적한 대기환경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소규모 사업장에 IoT 의무부착 지원을 확대해 이를 통한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대기질 관리를 수행하겠다”고 덧붙였다.
  • 도배방지 이미지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